종목소개
장애인당구역사
제 1회 로마 패럴림픽 대회에서 스누커(Snooker) 종목이 최초 채택되면서 장애인당구는 1988년 서울 패럴림픽 대회까지 정식 종목으로 운영되었다.
현재는 패럴림픽에서 포함되고 있지 않으며, 국내에서 여러차례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2009년 대한장애인당구협회가 설립되었으며,
2011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현재까지 약 600명의 선수들이 각종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등급소개
스포츠 등급 및 분류 기준
▫ 사지마비 또는 하반신마비와 그에 준하는 질환이 임상적으로 진단된 대상자들 중, 그로 인한 장애로 기립 상태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및 기립 상태는 유지되나 기립상태로 당구 샷을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좌식 등급으로 분류된다. 그 이외의 경우는 입식 등급으로 분류된다.
▫ 좌식 등급은 3개의 등급인 BIW1, BIW2, BIW3 로 나뉜다. 좌식 등급의 선수들은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시합을 진행해야만 한다.
▫ 입식 등급은 5개의 등급으로 나뉜다. 상지의 장애를 가진 선수들은 BIS 1, BIS 2, BIS3 로 분류되며, 하지의 장애를 가진 선수들은 BIS 4, BIS 5로 분류된다. 입식 등급의 경우 입식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의지 및 보조기기 사용이 가능하나, 이는 사전 등급분류를 통해 파악 및 용인되어야 하고, 등급분류서류에 명시되어 있어야 한다.
등급 | 소개 |
BIW 1 등급 | 기립 상태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또는 기립 상태는 유지되나 기립상태로 당구 샷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면서, 벤치테스트에서 양측 상지 및 체간에서 최소 30점 이상의 점수 소실이 있는 경우 |
BIW 2 등급 | 기립 상태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또는 기립 상태는 유지되나 기립상태로 당구 샷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면서, 벤치테스트에서 양측 상지 및 체간에서 10점이상 20점 미만의 점수 소실이 있는 경우 |
BIW 3 등급 | 기립 상태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또는 기립 상태는 유지되나 기립상태로 당구 샷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면서, 벤치테스트에서 양측 상지 및 체간에서 10점 미만의 점수 소실이 있는 경우 |
등급 | 소개 |
BIS 1 등급 | 이 등급의 선수들은 다음의 조항들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만족해야 한다. 벤치테스트: 양측 상지 및 체간에서 40점 이상의 점수 소실 절단: 일측 상지에서의 팔꿈치 위 절단 (above-elbow amputation) 또는 양측 상지에서의 손목 아래 절단 (wrist disarticulation) 인 경우 |
BIS 2 등급 | 이 등급의 선수들은 다음의 조항들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만족해야 한다. 벤치테스트: 양측 상지 및 체간에서 20점 이상 40점 미만의 점수 소실 절단: 일측 상지에서의 팔꿈치 아래 절단 (below-elbow amputation) 또는 양측 모든 손가락을 근위지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경우 |
BIS 3 등급 | 이 등급의 선수들은 다음의 조항들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만족해야 한다. 벤치테스트: 일측 상지에서 10점 이상 또는 양측 상지에서 15점 이상의 점수 소실 절단: 수지 근위지간 관절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이상의 절단이 한손의 엄지손가 락에 있는 경우,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에 있는 경우, 또는 셋째/넷째/다섯 째 손가락의 3개의 손가락에 모두 있는 경우 |
BIS 4 등급 | 이 등급의 선수들은 다음의 조항들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만족해야 한다. 벤치테스트: 일측 하지에서 20점 이상 또는 양측 하지에서 25점 이상의 점수 소실 절단: 일측 하지에서 무릎관절 이단 (knee disarticulation) 이상의 상태 |
BIS 5 등급 | 이 등급의 선수들은 다음의 조항들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만족해야 한다. 벤치테스트: 일측 하지에서 최소 10점 이상의 점수 소실 또는 양측 하지에서 최소 15점 이상의 점수 소실 절단: 한 다리를 리스프랑관절 이상 부위에서 절단된 경우 다리길이 단축: 한다리가 건강한 다리보다 5 cm 이상 또는 건강한 다리 길이의 15분의 1 이상 짧은 경우 저신장: 성장이 멈춘 18세 이상의 남성으로서 신장이 145 cm 이하인 경우, 성장이 멈춘 16세 이상의 여성으로서 신장이 140cm 이하인 경우, 연골무형성증으로 왜소증에 대한 증상이 뚜렷한 경우 척추변형 및 척추강직: 척추후만증이 있으며, 만곡각도가 60도 이상인 경우, 경추 또는 흉추,요 추의 운동범위가 정상의 1/5 이상 감소된 경우, 강직성척추염으로 경추 또는 요추가 완전강직된 경우 |
3. 시각 장애 등급
IBSA 등급분류사에 의해 아래 내용으로 등급분류를 받은 경우이다.
등급 | 소개 |
BIS-B2 등급 | 이 등급의 선수는 손가락을 알아볼 수 있는 능력에서부터 시력이 2/60 (0.04) 이거나 또는 단안 시야가 5도 미만이어야 한다. |
BIS-B3 등급 | 이 등급의 선수는 시력이 2/60 (0.04) 보다 좋거나 6/60 (0.1) 이하 또는 단안 시야가 5도 이상 20도 미만이어야 한다. |
등급 | 소개 |
BIS-II 등급 | 지적 장애가 있는 선수의 등급으로, VIRTUS 등급분류사에 의해 등급분류를 받은 경우이다. |
등급 | 소개 |
BIS-HI 등급 | 청각 장애가 있는 선수의 등급으로, KOBAD 등급분류 위원회에서 관련 장애등급 판정서류를 확인한 경우이다. |
등급 | 소개 |
BIS (Billiards Stand) | 걸을 수 있는 장애인당구 선수 |
BIW (Billiards Wheelchair) | 휠체어 사용 장애인당구 선수 |
용기구
구분 | 소개 |
![]() |
큐 |
![]() |
초크 |
![]() |
당구대 |
![]() |
공 |
![]() |
레스트 |